운동

승모근(Trapezius): 위치, 기능, 통증 관리 및 스트레칭·마사지 총정리

의학왕 2025. 1. 4. 18:16

승모근

 

1. 승모근이란?

 

승모근(Trapezius)은 등 상부에 위치한 넓고 얇은 삼각형 모양의 근육입니다.

 

이 근육은 목과 어깨, 등 상부를 덮고 있으며, 상체의 움직임과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어깨 움직임과 자세 조절을 담당하여, 일상생활과 스포츠 활동에서 필수적인 근육입니다.

 

2. 승모근의 위치 및 해부학적 구조

 

승모근
https://www.kenhub.com/en/library/anatomy/trapezius-muscle

 

1) 위치

승모근은 목에서 시작하여 어깨와 등 상부까지 넓게 퍼진 근육입니다.

기원(Origin): 후두골(머리뼈 뒷부분), 경추(목뼈) C7과 흉추 T1~T12의 극돌기(spinous process).

정지점(Insertion): 쇄골(Clavicle), 견봉(Acromion), 견갑골의 가시(Scapular Spine).

 

2) 구조

 

승모근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1. 상부 섬유(Upper Fibers)

 

목과 어깨의 들어 올리기(견갑 거상)에 관여.

목을 뒤로 젖히거나 옆으로 기울이는 동작 담당.

 

2. 중부 섬유(Middle Fibers)

 

어깨뼈를 뒤로 당기는 동작(견갑 내전) 수행.

등 자세를 곧게 유지.

 

3. 하부 섬유(Lower Fibers)

 

어깨뼈를 아래로 당기는 동작(견갑 하강) 담당.

상체의 안정성 및 자세 유지.

 

3. 승모근의 기능

1. 어깨와 팔의 움직임 조절

 

팔을 들어 올리고, 당기며, 회전시키는 동작을 지원합니다.

운동 시 견갑골을 안정화하여 힘의 전달을 도와줍니다.

 

2. 목과 상체의 안정성 유지

 

목과 어깨를 안정화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어깨에 짐을 올릴 때 도움을 줍니다.

 

3. 호흡 보조 역할

 

가슴을 확장시키는 동작을 도와 호흡 근육 보조 기능을 수행합니다.

 

4. 머리와 목의 움직임 조절

 

목을 돌리거나 앞으로 숙이는 동작에 참여합니다.

 

4. 승모근 통증의 원인 및 증상

 

1) 원인

1. 잘못된 자세

 

장시간 컴퓨터 사용 또는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목과 어깨가 앞으로 구부러지는 자세.

거북목 증후군과 연관된 근육 긴장 발생.

 

2. 스트레스 및 긴장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승모근이 지속적으로 긴장하면서 뻣뻣해집니다.

 

3. 과도한 운동 또는 부상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드는 동작.

역기나 턱걸이 같은 운동에서 과사용(overuse)으로 인한 근육 피로.

 

4. 근육 불균형

 

상체와 하체 근육의 불균형으로 승모근이 과도하게 사용됩니다.

 

5. 신경 압박 및 디스크 문제

 

경추 디스크로 인한 신경 압박이 승모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증상

1. 목과 어깨 통증

 

어깨와 목 뒤쪽에서 시작해 머리 뒤쪽까지 이어지는 통증.

긴장성 두통과 유사한 증상.

 

2. 팔과 손 저림

 

신경 압박으로 인해 팔과 손가락에 저림이 나타날 수 있음.

 

3. 움직임 제한

 

목을 돌리거나 팔을 움직일 때 불편함과 제한 발생.

 

4. 결림과 뻣뻣함

 

근육이 딱딱하게 뭉치고 이완되지 않는 느낌.

 

5. 승모근 스트레칭 및 이완법

 

1) 스트레칭 방법

1. 목 옆 기울이기 스트레칭

 

머리를 한쪽으로 기울여 승모근을 늘립니다.

반대 손으로 머리를 살짝 눌러 더 깊게 스트레칭합니다.

15~30초 유지, 양쪽 반복.

 

2. 어깨 내리기 스트레칭

 

한 손을 등 뒤로 두고 다른 손으로 머리를 반대쪽으로 당깁니다.

견갑골 주변 근육이 당겨지는 느낌을 유지합니다.

 

3. 어깨 돌리기 스트레칭

 

어깨를 앞뒤로 천천히 돌려 긴장을 풀어줍니다.

10회씩 반복하며 호흡을 조절합니다.

 

2) 마사지 및 이완법

1. 테니스 공 마사지

 

벽에 기대어 테니스 공을 승모근 위에 위치시킵니다.

몸을 움직여 근육의 결림 부분을 눌러줍니다.

1~2분간 반복하면서 근육을 부드럽게 이완합니다.

 

2. 폼롤러 마사지

 

폼롤러 위에 눕거나 등을 대고 움직이며 마사지합니다.

등 상부와 목 주변의 긴장을 완화합니다.

 

3. 지압 및 손마사지

 

손가락이나 마사지 기구를 이용해 근육의 결림을 직접 누르거나 문지릅니다.

전문 마사지사를 통해 깊은 근육까지 이완할 수 있습니다.

 

6. 승모근 강화 및 재활 운동

 

1) 숄더 슈러그(Shoulder Shrugs)

어깨를 최대한 올렸다가 천천히 내리는 동작.

10~15회씩 3세트 반복하여 근육 강화.

 

2) 페이스 풀(Face Pulls)

케이블을 이용해 얼굴 쪽으로 당기는 운동.

중부 및 하부 승모근 강화에 효과적입니다.

 

3) 레트로 로우(Retraction Row)

덤벨이나 바벨을 이용해 뒤로 당기는 동작.

견갑골을 뒤로 모으는 연습을 통해 중부 섬유 강화.

 

7. 결론

 

승모근은 상체의 움직임과 안정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근육으로, 잘못된 자세, 스트레스,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쉽게 긴장되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칭, 마사지, 근력 강화 운동을 통해 승모근의 유연성과 강도를 유지하면 통증 예방과 함께 상체의 균형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