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증은 담낭(쓸개)에 발생하는 단단한 돌 같은 결석으로, 대부분 콜레스테롤이나 빌리루빈의 침착에 의해 형성됩니다. 이는 담즙의 흐름을 막아 통증과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원인
1. 콜레스테롤 과다
• 담즙 내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면서 결석이 형성됩니다.
• 비만, 고지방 식단, 콜레스테롤 대사 이상 등이 원인입니다.
2. 빌리루빈 과다
• 간질환, 용혈성 빈혈과 같은 상태에서 빌리루빈이 증가해 결석을 유발합니다.
3. 담즙 정체
• 담즙의 흐름이 느려지거나 정체되면 결석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4. 위험 요인
• 여성, 40세 이상, 비만, 임신, 급격한 체중 감소, 특정 약물(에스트로겐, 경구 피임약) 복용.
2. 증상
1. 무증상
• 약 80%는 증상이 없으며, 우연히 발견됩니다.
2. 증상성 담석증
• 담즙산통:
• 식후 1~2시간 내 오른쪽 상복부에 갑작스러운 통증이 나타나며 몇 시간 지속.
• 통증이 어깨나 등으로 방사될 수 있음.
• 구역질과 구토: 소화 장애와 동반.
• 발열: 감염이 있는 경우 동반.
3. 합병증
• 급성 담낭염:
• 오른쪽 상복부 통증, 발열, 메스꺼움.
• 머피 사인(Murphy’s sign) 양성(복부 압박 시 통증 증가).
• 급성 담관염:
• 샤르코 삼징(Charcot’s triad): 발열, 황달, 오른쪽 상복부 통증.
• 담석성 췌장염:
• 명치 통증이 등으로 방사, 구토, 발열.
3. 검사
1. 혈액 검사
• 간 기능 검사: 빌리루빈, ALP, ALT/AST 수치 상승 확인.
• 백혈구 수치: 감염 여부 평가.
• 리파아제: 췌장염 여부 확인.
2. 영상 검사
• 복부 초음파:
• 담석 진단에 가장 일반적인 방법.
• 담낭 내 결석, 담낭벽 비후, 담즙 정체 확인.
• MRCP(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
• 담관 결석(총담관 결석) 확인.
• 내시경 초음파(EUS):
• MRCP와 유사하며, 민감도가 높음.
• CT 스캔: 담낭염 합병증 평가에 유용.
3. 기타 검사
• ERCP(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 치료와 진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음.
4. 치료
비수술적 치료
1. 약물 치료
• 우르소디올(Ursodiol):
• 작은 콜레스테롤 담석에 사용.
• 효과가 제한적이며, 재발 가능성 높음.
• 진통제 및 소염제:
• 담즙산통 완화를 위해 디클로페낙 또는 이부프로펜 사용.
• 심한 경우 아편유사제(Opioids) 투여.
2. 식이 관리
• 저지방 식단을 유지하며, 담즙 과다 생성을 예방.
3. ERCP
• 담관 결석 제거 및 담즙 흐름 회복.
수술적 치료
1. 복강경 담낭절제술
• 가장 일반적인 수술 방법.
• 회복이 빠르고, 입원 기간이 짧음.
2. 개복 담낭절제술
• 복강경 수술이 어려운 경우(심각한 감염, 해부학적 문제) 시행.
3. 응급 수술
• 급성 담낭염, 담관염, 췌장염 등의 합병증이 있을 때 빠른 수술이 필요.
• 급성 담낭염: 진단 후 24~72시간 이내 수술 권장.
• 담석성 췌장염: 경증은 48시간 이내, 중증은 증상 안정 후 2주 이후 시행.
4. 예방적 담낭절제술
• 무증상 담석이 있어도 특정 고위험군(면역저하, 담낭석 크기 ≥ 3cm, 담낭 석회화 등)에 권장.
5. 병원 방문이 필요한 경우
1. 지속적 통증
• 오른쪽 상복부 통증이 6시간 이상 지속될 때.
2. 발열 및 오한
• 감염 가능성(담낭염, 담관염) 의심.
3. 황달
• 담관 막힘 또는 간 문제를 나타낼 수 있음.
4. 구토와 심한 소화 장애
• 담관 결석 또는 췌장염 가능성.
5. 체중 감소 및 식욕 부진
• 만성적 담석증이나 합병증 의심.
6. 예방
1. 건강한 식습관
• 고섬유질, 저지방 식단 유지.
• 충분한 수분 섭취.
2. 규칙적인 운동
• 체중 관리 및 콜레스테롤 조절.
3. 급격한 체중 감소 방지
• 급격한 다이어트는 담즙 정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약물 예방
• 빠른 체중 감소 중 우르소디올 투여로 담석 형성 예방 가능.
결론
담석증은 흔히 증상이 없지만, 증상이 나타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검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적 치료는 증상이 있는 담석증의 주요 치료법이며, 복강경 담낭절제술이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됩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함으로써 담석증의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수치: 정상범위, 높은 이유, AST와 ALT 등 수치 해석 총정리 (0) | 2024.12.22 |
---|---|
쇼그렌 증후군(Sjögren Syndrome):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후 총정리 (0) | 2024.12.22 |
루푸스: 증상(얼굴 홍반), 검사, 치료 및 완치 총정리 (0) | 2024.12.21 |
잠이 안올때: 이유, 방법, 병원에 가야하는 경우 (0) | 2024.12.21 |
배아픔, 설사, 장염 대처법: 치료, 약 그리고 병원 가봐야하는 경우 (0)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