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Calcitonin(칼시토닌): 정의, 검사 목적, 결과 해석 및 임상적 의미

의학왕 2025. 4. 26. 20:40

lab test

 

서론

 

Calcitonin(칼시토닌)은 갑상선 C세포(Parafollicular Cell)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칼슘 항상성 조절 및 수질성 갑상선암(Medullary Thyroid Carcinoma, MTC)의 바이오마커로 사용됩니다.

 

칼시토닌 검사는 갑상선암(특히 수질성 갑상선암) 진단, 치료 후 재발 감시 및 칼슘 대사 이상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Calcitonin의 정의, 검사 목적, 정상 범위, 결과 해석 및 임상적 의미까지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1. Calcitonin(칼시토닌)이란?

 

1.1. Calcitonin의 정의

 

Calcitonin은 갑상선 C세포에서 생성되는 폴리펩타이드 호르몬으로, 혈중 칼슘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칼슘 조절 기능

• 칼슘이 증가하면 칼시토닌이 분비되어 골흡수 억제 및 칼슘 배출 촉진.

• 부갑상선호르몬(PTH)과 반대 작용을 하여 칼슘 항상성을 유지.

 

수질성 갑상선암(MTC) 바이오마커

• 수질성 갑상선암(C-cell carcinoma)에서 칼시토닌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상승.

MTC의 조기 진단, 치료 후 모니터링 및 재발 감시에 필수적.

 

📌 Calcitonin 검사는 갑상선암(특히 수질성 갑상선암)의 진단 및 재발 감시에 가장 중요한 바이오마커입니다.

 


2. Calcitonin 검사의 목적

 

Calcitonin 검사는 수질성 갑상선암 진단 및 예후 평가, 갑상선 결절 감별 및 칼슘 대사 이상 평가를 위해 시행됩니다.

 

2.1. 수질성 갑상선암(MTC) 진단 및 치료 후 재발 감시

 

수질성 갑상선암(MTC) 진단 및 조기 발견

• 갑상선 결절이 의심되는 경우, Calcitonin 검사를 통해 MTC 가능성을 평가.

• MTC 환자의 약 98%에서 칼시토닌 수치가 상승.

 

MTC 치료 후 재발 감시

• 갑상선 절제술 및 치료 후 칼시토닌이 정상 범위로 감소해야 함.

칼시토닌이 증가하면 암이 재발하거나 전이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 수질성 갑상선암이 의심될 경우, Calcitonin + CEA(Carbohydrate Antigen Embryonic Antigen) 병행 검사가 권장됩니다.

 


2.2. 갑상선 결절 감별

 

갑상선 결절이 발견된 경우, 양성 vs. 악성 감별

양성 결절 → 칼시토닌 수치 정상.

수질성 갑상선암(MTC) → 칼시토닌 수치 상승.

 

📌 칼시토닌이 높으면 세침흡인검사(FNA) 및 유전자 검사(RET 유전자 돌연변이 분석) 필요.

 


2.3. 칼슘 대사 이상 평가

 

칼슘 항상성 조절 평가

고칼슘혈증(Hypercalcemia): 칼시토닌 분비 증가하여 혈중 칼슘 조절.

골다공증 환자에서 칼슘 대사 평가에 보조적 역할 수행.

 

📌 칼시토닌은 칼슘 대사에 영향을 주지만, 고칼슘혈증의 주요 원인은 부갑상선호르몬(PTH)입니다.

 


3. Calcitonin 검사 방법 및 정상 범위

 

3.1. 검사 방법

 

혈액 검사(Serum Calcitonin Test)

• 혈청에서 Calcitonin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

• 면역비색법(Nephlometry) 또는 면역효소검사(ELISA) 방식 사용.

 

칼슘 자극 검사(Stimulated Calcitonin Test) 필요 가능

• 경계 수치(10~100 pg/mL)일 경우, 칼슘 또는 펜타가스트린(Pentagastrin) 주사를 통해 칼시토닌 분비 반응을 평가.

 


3.2. Calcitonin 정상 범위

성별 및 상태 정상 Calcitonin 범위 (pg/mL)
남성 < 10.0
여성 < 5.0
갑상선 절제술 후 (정상 범위) < 2.0
칼슘 자극 검사 후 < 30.0

 

📌 정상 범위는 검사 방법 및 실험실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4. Calcitonin 검사 결과 해석

Calcitonin 수치 (pg/mL) 의미 추가 조치 필요 여부
< 10 (남성), < 5 (여성) 정상 범위 추가 검사 불필요
10 ~ 100 수질성 갑상선암 가능성 있음 칼슘 자극 검사 필요
> 100 수질성 갑상선암 또는 전이 가능성 높음 초음파, CT, 유전자 검사 필요

 

📌 Calcitonin이 100 pg/mL 이상이면 수질성 갑상선암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추가 정밀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5. Calcitonin과 다른 갑상선 바이오마커 비교

바이오마커 관련 질환 진단적 의미
Calcitonin 수질성 갑상선암(MTC) MTC 조기 진단 및 재발 감시
CEA (Carbohydrate Antigen Embryonic Antigen) 갑상선암, 대장암 MTC 진행 및 전이 평가
Thyroglobulin (Tg) 유두암, 여포암 갑상선 절제 후 재발 감시
TSH (Thyroid-Stimulating Hormone) 갑상선 기능 이상 갑상선 기능 조절 상태 평가
T3, T4 갑상선기능항진증, 저하증 갑상선 호르몬 상태 평가

 

📌 Calcitonin은 유두암, 여포암과는 관련이 없으며, 주로 수질성 갑상선암(MTC)에서 활용됩니다.

 


6. Calcitonin 검사 시 고려해야 할 점

 

6.1. 비암성 원인으로 인한 상승 가능성

 

칼시토닌 수치는 MTC 외에도 상승할 수 있음

• 만성 신부전

• 위장관 질환(위암, 위염)

• 특정 약물 복용(양성자펌프억제제, PPI)

 

📌 경계 수치일 경우, 칼슘 자극 검사 또는 유전자 검사(RET 유전자 돌연변이 분석) 필요.

 

6.2. 단일 검사로 확진 불가

 

Calcitonin이 높다고 반드시 수질성 갑상선암은 아님

• 방사선 검사(CT, 초음파) 및 조직 검사(FNA)와 함께 평가해야 함.

 


7. Calcitonin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Calcitonin 수치가 높으면 반드시 갑상선암인가요?

 

아니요. 위장관 질환, 신부전 등에서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Q2. MTC 치료 후 칼시토닌 검사는 얼마나 자주 받아야 하나요?

 

3~6개월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Q3. 수질성 갑상선암 가족력이 있으면 미리 검사해야 하나요?

 

네, RET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결론

lab test

 

Calcitonin(칼시토닌)은 수질성 갑상선암(MTC)의 조기 진단 및 재발 감시에 필수적인 바이오마커입니다. 하지만, 단독 검사로 확진할 수 없으며, 추가적인 영상 검사 및 조직 검사가 필요합니다.

 

MTC 가족력이 있거나 갑상선 결절이 있는 경우, Calcitonin 검사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