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S-100 단백질(S-100 Protein): 정의, 검사 목적, 결과 해석 및 임상적 의미 총정리

의학왕 2025. 4. 24. 18:42

lab test

 

서론

 

S-100 단백질은 신경세포, 멜라닌세포, 근육세포 및 면역세포에서 발현되는 칼슘 결합 단백질로, 특정 질환(흑색종, 신경계 손상, 신경교종 등)의 바이오마커로 활용됩니다. 특히 흑색종(melanoma)의 진행 상태 및 예후 평가, 뇌 손상(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평가, 신경퇴행성 질환 진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S-100 단백질의 정의, 검사 목적, 정상 범위, 결과 해석 및 임상적 의미까지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1. S-100 단백질이란?

 

1.1. S-100 단백질의 정의

 

S-100 단백질은 세포 내 칼슘 항상성 조절, 세포 성장 및 분화, 신경세포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입니다.

 

특징

• 칼슘 결합 단백질로, 다양한 세포에서 발현됨.

• 세포 내 신호전달 및 신경계 조절 역할 수행.

• 흑색종 및 신경계 손상이 발생하면 혈중 수치가 증가함.

 

S-100 단백질의 주요 아형(isoforms)

S-100B: 신경세포(뇌) 및 멜라닌세포(피부)에서 주로 발현됨.

S-100A1, A6: 심장 및 근육세포에서 발현됨.

S-100A8, A9, A12: 염증 반응과 관련된 단백질.

 

📌 S-100B는 흑색종 및 신경 손상의 바이오마커로 가장 많이 활용됩니다.

 


2. S-100 단백질 검사의 목적

 

S-100 단백질 검사는 흑색종(피부암), 신경계 손상, 신경퇴행성 질환의 진단 및 예후 평가를 위해 사용됩니다.

 

2.1. 흑색종(피부암) 진단 및 예후 평가

 

S-100 단백질은 진행성 흑색종(melanoma) 환자에서 증가함

• 종양이 진행할수록 혈중 S-100B 수치가 상승

수술 후 S-100B 수치가 감소하면 예후가 좋을 가능성이 높음

 

S-100B는 흑색종의 진행 정도 및 치료 반응 평가에 유용

초기 흑색종(0~I기): S-100B 상승 가능성이 낮음

진행성 흑색종(III~IV기): S-100B 수치 상승 가능성이 높음

 

📌 S-100B는 흑색종의 조기 진단보다는 진행 및 예후 평가에 더욱 유용한 바이오마커입니다.

 


2.2. 신경계 손상(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평가

 

S-100B는 신경세포 손상의 중요한 마커

•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TBI), 저산소 뇌손상(Hypoxic Brain Injury) 후 혈중 수치 상승

S-100B가 낮으면 심각한 뇌 손상 가능성이 낮으며, 불필요한 CT 검사를 줄이는 데 도움

 

외상성 뇌손상(TBI) 진단에서 활용

경미한 두부 외상 후 S-100B가 정상 수치라면 CT 검사 생략 가능

S-100B가 높다면 추가적인 영상 검사(MRI, CT) 필요

 

📌 S-100B 검사는 신경 손상의 심각도를 평가하고, 불필요한 영상 검사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2.3. 신경퇴행성 질환(알츠하이머, 다발성 경화증) 진단 보조

 

S-100B는 신경염증 및 신경 퇴행 과정에서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 알츠하이머병(AD), 다발성 경화증(MS), 파킨슨병(PD)에서 S-100B 수치 상승 가능성

• 하지만 이 질환들의 특이적인 진단 마커로 사용되지는 않음

 

📌 S-100B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보조적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지만, 단독으로 진단할 수는 없습니다.

 


3. S-100 단백질 검사 방법 및 정상 범위

 

3.1. 검사 방법

 

혈액 검사(Serum S-100B Test)

• 혈청에서 S-100B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

• 면역효소검사(ELISA) 또는 면역비색법(Nephlometry) 방식 사용.

 

3.2. S-100B 정상 범위

혈액 내 정상 수치: ≤ 0.105 µg/L

외상성 뇌손상(TBI) 평가 기준:

≤ 0.10 µg/L: 정상 (CT 검사 불필요 가능성 높음)

> 0.10 µg/L: 신경 손상 가능성 높음 (CT 검사 필요)

흑색종 진행 상태 평가 기준:

≤ 0.105 µg/L: 정상

0.105 ~ 0.2 µg/L: 주의 깊은 관찰 필요

> 0.2 µg/L: 흑색종 진행 가능성 증가

 

📌 S-100B는 신경 손상 및 흑색종의 진행 여부를 평가하는 보조적 마커로 활용됩니다.

 


4. S-100 단백질 검사 결과 해석

S-100B 수치 (µg/L) 의미 추가 조치 필요 여부
≤ 0.105 정상 범위 추가 검사 불필요
0.105 ~ 0.2 경계 수치 정기적인 추적 관찰 필요
> 0.2 신경 손상 가능성 높음 또는 흑색종 진행 가능성 추가 영상 검사 필요 (CT, MRI)

 

📌 S-100B 단독 검사로 특정 질환을 확진할 수 없으며, 영상 검사 및 조직 검사와 함께 해석해야 함

 


5. S-100 단백질과 다른 바이오마커 비교

바이오마커 관련 질환 진단적 의미
S-100B 흑색종, 신경 손상(TBI, 뇌졸중) 흑색종 진행 및 신경 손상 평가
NSE (Neuron Specific Enolase) 신경내분비 종양, 소세포폐암 신경세포 손상 및 암 진단
GFAP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신경 손상(TBI) 교세포 손상 및 뇌 손상 평가
Tau Protein 알츠하이머병 신경퇴행성 질환 진단

 

📌 S-100B는 신경 손상 및 흑색종에 특화된 마커이며, 다른 바이오마커와 함께 사용할 때 진단 정확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6. S-100 단백질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S-100B 검사는 언제 받아야 하나요?

흑색종 환자의 치료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두부 외상(외상성 뇌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Q2. S-100B가 높으면 반드시 질병이 있나요?

 

아니요. 운동 후, 감염, 염증 질환에서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Q3. S-100B 검사는 얼마나 자주 받아야 하나요?

 

흑색종 환자는 3~6개월 간격으로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결론

lab test

 

S-100 단백질은 흑색종 및 신경 손상의 바이오마커로 활용되는 혈액 검사입니다. 하지만, 단독 검사로 특정 질환을 확진할 수 없으며, 영상 검사 및 조직 검사와 함께 해석해야 합니다.

 

신경 손상 및 흑색종 환자에서는 정기적인 S-100B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