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치주염(Periodontitis)은 잇몸과 치아 사이의 구조(치주조직)가 염증으로 손상되는 만성 치과 질환입니다.
방치할 경우 잇몸이 내려앉고 치아가 흔들리다 결국 빠질 수 있으며, 성인 치아 상실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이 글에서는 치주염의 원인, 진행 단계별 증상, 진단과 치료법, 수술적 접근, 자가 관리 및 자주 묻는 질문까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2. 치주염이란?
항목 | 설명 |
정의 | 치은염이 잇몸 아래 뼈(치조골)까지 침범하여 지지 조직이 파괴되는 상태 |
분류 | 급성 vs 만성 / 국소 vs 전반적 |
진행 특징 | 초기에 통증이 거의 없고, 서서히 진행됨 |
3. 주요 원인
원인 | 설명 |
치태(플라그) 및 치석 | 세균이 만들어낸 찌꺼기 → 잇몸 염증 유발 |
흡연 | 면역 억제 및 혈류 감소 → 진행 가속화 |
구강 위생 불량 | 칫솔질, 치실 미사용 → 세균 축적 ↑ |
전신 질환 | 당뇨, 골다공증, 빈혈 등과 연관 |
호르몬 변화 | 임신, 폐경기 여성, 청소년기 |
유전적 요인 | 가족력 있는 경우 감수성 증가 |
4. 증상 및 진행 단계
단계 | 증상 | 특징 |
1단계: 치은염 | 잇몸 붓기, 양치 시 피 | 치조골 손상 X (가역적) |
2단계: 초기 치주염 | 잇몸이 내려앉고 치아 사이 벌어짐 | 치조골 일부 흡수 시작 |
3단계: 중등도 치주염 | 고름, 입냄새, 치아 흔들림 | 자각 증상 나타남 |
4단계: 진행성 치주염 | 씹기 어려움, 치아 탈락 | 광범위한 뼈 손실 |
5. 진단 방법
검사 | 설명 |
치주 탐침 검사 | 잇몸 주머니 깊이 측정 → 4mm 이상이면 치주염 의심 |
엑스레이 | 치조골 손실 여부 및 범위 확인 |
구강 내시경/사진 | 시각적으로 플라그, 치석, 염증 확인 가능 |
6. 치료법
1. 비수술적 치료 (초기~중등도)
치료법 | 설명 |
스케일링 | 치석 제거 (건강보험 연 1회 적용) |
치근면활택술(SRP) | 잇몸 밑 뿌리 표면 정리, 세균 제거 |
항생제 병용 | 국소 또는 전신 항생제 사용 가능 |
2. 수술적 치료 (중등도~중증)
수술 | 목적 |
치주판막수술 | 잇몸 절개 후 깊은 부위 치석 제거 |
골 이식술 | 치조골 손실 부위에 뼈 재건 |
조직 재생술(GTR) | 잇몸·뼈 조직의 재생 유도 |
7. 회복 및 관리
시기 | 관리법 |
치료 직후 | 무리한 칫솔질 피하고 부드럽게 양치 |
1~2주 내 | 출혈·부기 감소, 점차 정상화 |
1~3개월 내 | 주기적 내원, 깊은 치주낭 재측정 |
8. 재발 방지 생활습관
항목 | 방법 |
하루 2회 이상 부드러운 양치 | 잇몸 라인 따라 45도 각도로 |
치실 및 치간칫솔 사용 | 치아 사이 관리 핵심 |
구강세정제 사용 | 항균작용 강화, 단기 집중 사용 권장 |
정기 치과 방문 | 3~6개월마다 검진 및 스케일링 |
금연 | 흡연자는 치료 효과도 낮고, 진행 속도 빠름 |
9.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치주염은 완치가 가능한가요?
→ 조기 치료 시 회복 가능, 하지만 중증일 경우 재생보다 진행 억제가 목표가 됩니다.
Q2. 치아가 흔들리면 무조건 뽑아야 하나요?
→ 아닙니다. 정도에 따라 보존 치료가 가능하며, 필요시 치아 고정술 등 활용 가능합니다.
Q3. 임신 중 치료는 가능한가요?
→ 임신 2기(14~28주)에는 안전하게 스케일링 및 치료 가능하며, 임신성 치은염은 반드시 관리해야 합니다.
Q4. 스케일링이 오히려 이 시렸어요. 괜찮은 건가요?
→ 스케일링 후 일시적인 시림은 정상 반응이며, 수일 내 회복됩니다.
Q5. 양치 열심히 해도 왜 치주염이 생기나요?
→ 양치법이 잘못되었거나, 치간·치은 부위가 관리되지 않아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10. 결론
치주염은 통증이 없다고 방심하면 늦게 발견되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입니다.
잇몸 건강은 곧 치아의 생명줄이며, 전신 건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오늘도 피가 나는 양치질,
그게 당신의 잇몸이 보내는 구조 요청일 수 있습니다.
지금이 바로 치료와 관리의 시작입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질환성 빈혈(Anemia of Chronic Disease): 원인, 진단, 치료 및 감별법 (1) | 2025.07.19 |
---|---|
치은염(Gingivitis):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 (1) | 2025.07.18 |
잇몸이 자주 붓고 피가 날 때: 원인, 위험 신호, 치료 및 예방 (1) | 2025.07.16 |
비중격만곡증(Deviated Nasal Septum): 원인, 증상, 진단, 수술 치료 및 관리 (2) | 2025.07.15 |
두통 종류 구별: 증상, 원인, 진단 기준 (1) | 202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