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LDH(젖산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는 신체 세포의 에너지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효소로, 세포 손상 및 조직 파괴와 관련된 질환에서 혈중 농도가 증가합니다.
LDH 검사는 심근경색, 간 질환, 폐 질환, 혈액암(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등), 신장 질환, 급성 감염 및 염증 질환 등 다양한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LDH의 정의, 검사 목적, 정상 범위, 결과 해석 및 임상적 의미까지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1. LDH란?
1.1. LDH(젖산탈수소효소)의 정의
LDH(Lactate Dehydrogenase)는 포도당이 에너지원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입니다.
• 해당작용(Glycolysis)의 필수 효소로, 세포 내에서 젖산(Lactate)과 피루브산(Pyruvate) 간 변환을 촉진함.
• 신체의 거의 모든 조직(심장, 간, 폐, 근육, 신장, 적혈구 등)에서 발견됨.
• 조직 손상이 발생하면 LDH가 혈중으로 방출되어 혈중 LDH 농도가 상승함.
1.2. LDH 동위원소(Isoenzymes) 분류
LDH는 5가지 동위원소(Isoenzymes, 동종효소)로 나뉘며, 특정 장기에 따라 다르게 분포합니다.
LDH 종류 | 관련 장기 | 주요 임상적 의미 |
LDH-1 | 심장, 적혈구, 뇌 | 심근경색, 용혈성 빈혈, 뇌 손상 |
LDH-2 | 백혈구, 신장, 심장 | 백혈병, 신장 질환, 감염성 질환 |
LDH-3 | 폐, 비장, 췌장 | 폐렴, 폐암, 췌장염 |
LDH-4 | 간, 근육, 태반 | 간 질환, 근육 손상, 임신 관련 문제 |
LDH-5 | 간, 근육, 골격근 | 간경변, 근육병증, 근육 손상 |
📌 LDH 동위원소 검사는 특정 장기의 손상을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
2. LDH 검사의 목적
LDH 검사는 조직 손상 및 세포 파괴를 평가하는 중요한 바이오마커로 사용됩니다.
2.1. 심혈관 질환 (심근경색, 심부전) 평가
✅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 진단 및 추적 모니터링
• 심장 손상 시 LDH-1 수치가 크게 상승
• LDH-1/LDH-2 비율이 1보다 크면(Flipped Ratio) 심근경색 가능성 증가
📌 심근경색 초기에는 CK-MB 검사가 더 민감하지만, LDH는 발병 후 2~3일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추적 검사에 유용함
2.2. 혈액 질환 (빈혈,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평가
✅ 용혈성 빈혈(Hemolytic Anemia) 및 적혈구 파괴 진단
• 적혈구가 파괴되면 LDH-1 수치가 증가
• 용혈성 빈혈, 겸상적혈구빈혈(Sickle Cell Anemia),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TTP)에서 상승
✅ 혈액암(림프종,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진단 및 예후 평가
• 림프종 및 백혈병 환자에서 LDH 수치가 높을수록 질병이 더 공격적일 가능성이 높음.
• 다발성 골수종의 치료 반응을 평가하는 데 사용됨.
📌 LDH가 높은 림프종 환자는 예후가 나쁠 가능성이 높아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2.3. 간 질환 (간염, 간경변, 간암) 평가
✅ 급성 간염 및 간 손상 평가
• 간세포가 파괴되면 LDH-5 수치가 증가
• 급성 간염, 알코올성 간질환, 간경변, 간암에서 상승 가능
📌 AST, ALT와 함께 간 질환 감별 진단에 사용됨
2.4. 폐 질환 (폐렴, 폐색전증, 폐암) 평가
✅ 폐렴,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PE) 및 폐암 진단 보조
• 폐렴 및 폐색전증 환자에서 LDH-3 수치가 증가
• 폐암이 진행되면서 조직 괴사가 발생하면 LDH 수치가 상승
📌 폐색전증 감별 시 D-dimer와 함께 사용되며, 폐렴이 심한 경우 LDH가 상승할 수 있음
3. LDH 검사 방법 및 정상 범위
3.1. 검사 방법
• 혈액 검사(Serum LDH Test)
• ELISA 또는 비색법(Colorimetric Assay) 방식 사용
3.2. LDH 정상 범위
• 성인 기준: 140 ~ 280 U/L
• 소아 및 신생아: 160 ~ 450 U/L (성인보다 높음)
📌 연령, 성별, 검사 방법에 따라 정상 수치가 다를 수 있음
4. LDH 검사 결과 해석
LDH 수치 (U/L) | 의미 |
≤ 280 | 정상 범위 |
280 ~ 500 | 경미한 조직 손상 가능성 (간질환, 감염, 빈혈 등) |
500 ~ 1000 | 중등도 손상 (암, 심근경색, 폐색전증 등 가능성) |
> 1000 | 심각한 조직 손상 (림프종,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심각한 간질환 등) |
📌 LDH 단독 검사로 특정 질환을 확진할 수 없으며, 다른 검사와 함께 평가해야 함
5. LDH과 다른 바이오마커 비교
바이오마커 | 관련 질환 | 진단적 의미 |
LDH | 심근경색, 혈액암, 간질환, 폐질환 | 조직 손상 및 세포 파괴 마커 |
AST, ALT | 간 질환 | 간세포 손상 평가 |
CK-MB | 심근경색 | 심장 근육 손상 평가 |
CRP, ESR | 염증성 질환 | 전신 염증 반응 평가 |
D-dimer | 폐색전증, 혈전증 | 혈전 생성 여부 확인 |
📌 LDH는 비특이적 조직 손상 마커이므로, 특정 장기의 문제를 감별하기 위해 추가 검사가 필요함
6. LDH 검사 시 고려해야 할 점
6.1. 비암성 질환에서도 상승 가능
• 심근경색, 폐색전증, 간염, 폐렴 등 다양한 질환에서 상승 가능
• 격렬한 운동 후에도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음
6.2. 단일 검사로 특정 질환 확진 불가
• LDH 수치만으로 특정 암이나 질환을 확진할 수 없으며, 영상 검사(CT, MRI) 및 다른 혈액 검사와 함께 평가해야 함
7. LDH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LDH 수치가 높으면 반드시 암인가요?
아니요. 심근경색, 폐색전증, 간질환, 감염 등에서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Q2. LDH 검사는 누구에게 필요한가요?
• 조직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
• 혈액암(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치료 중인 환자
• 간 질환 및 심근경색 평가가 필요한 환자
결론
LDH는 조직 손상 및 세포 파괴를 평가하는 중요한 바이오마커입니다. 하지만 특정 질환을 확진하는 검사로 사용되지는 않으며, 다른 혈액 검사 및 영상 검사와 함께 해석해야 합니다.
정확한 해석을 위해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NMP22: 방광암 바이오마커의 정의, 검사 목적, 결과 해석 및 임상적 의미 총정리 (0) | 2025.04.22 |
---|---|
VHL(폰 히펠-린다우 증후군):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0) | 2025.04.21 |
β2-마이크로글로불린(β2-Microglobulin, β2-MG): 정의, 검사 목적, 결과 해석 및 임상적 의미 (0) | 2025.04.19 |
CYFRA 21-1: 정의, 검사 목적, 결과 해석 및 임상적 의미 (0) | 2025.04.18 |
손끝 저림(Finger tingling):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1) | 2025.04.13 |